2025년 4월 4주차, 글로벌 및 국내 기업들의 실적 동향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 유럽, 중국 등 주요 국가들의 실적 하향 조정과 함께 국내 업종별 이익 모멘텀의 차별화가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이번 주간 이익 동향을 통해 투자자들이 주목해야 할 포인트를 정리해보았습니다.
글로벌 이익 동향 (MSCI 기준)
- 전 세계 EPS 변화율(1개월): -0.7% (선진국: -0.7%, 신흥국: -0.3%)
- 컨센서스 상향 국가: 한국(+1.6%), 홍콩(+0.4%)
- 컨센서스 하향 국가: 독일(-1.4%), 대만(-0.9%), 중국(-0.8%), 미국(-0.8%)
- 컨센서스 상향 업종: 헬스케어(+0.1%), 금융(+0.1%)
- 컨센서스 하향 업종: 에너지(-1.3%), 경기소비재(-1.0%), 필수소비재(-0.7%)
글로벌 시장에서는 주요 국가들의 실적 하향 조정이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에너지, 경기소비재, 필수소비재 업종에서의 하향 조정이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반면, 한국과 홍콩은 상대적으로 양호한 이익 모멘텀을 보이고 있습니다.
국내 이익 동향 및 밸류에이션
- 1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 변화율: -0.7% (1주일 전 대비)
- 2025년 연간 영업이익 컨센서스 변화율: -0.6% (1주일 전 대비)
- KOSPI 12개월 선행 PER: 8.6배
- KOSPI 12개월 후행 PBR: 0.84배PBR | Professional Bull Riders+20Reuters+20나스닥+20
국내 시장에서는 일부 업종에서의 실적 부진이 전체적인 이익 전망을 하향 조정시키고 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밸류에이션 측면에서는 매력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업종별 이익 모멘텀 분석
컨센서스 상향 업종
- 유통: 이마트, 실리콘투
- 화학: LG화학, 한솔케미칼, 유니드
- 방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현대로템
- 반도체: SK하이닉스
- 증권: 한국금융지주, 키움증권
- 조선: 한화오션, HD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이들 업종은 긍정적인 실적 전망과 함께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컨센서스 하향 업종
- 운송: 대한항공, 티웨이항공, 진에어, CJ대한통운
- 에너지: SK이노베이션, S-Oil
- 철강: POSCO홀딩스, 현대제철, 동국제강, 세아제강
- 호텔/레저: GKL, 파라다이스, 강원랜드, 하나투어
- 자동차: 현대차, 기아, 한온시스템, HL만도, 에스엘, 현대위아
- SW: 한화시스템, 한미반도체, 솔브레인, 원익IPS, 피에스케이
- 유틸리티: 한국전력보도자료 배포 및 투자자 관계 서비스
이들 업종은 실적 부진과 함께 이익 전망이 하향 조정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주간 코멘터리
글로벌 시장에서는 미국, 유럽, 중국 등 주요 국가들의 실적 하향 조정이 확대되고 있으며, 국내 시장에서도 일부 업종에서의 실적 부진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그러나 유통, 화학, 반도체, 방산, 조선 등 일부 업종에서는 긍정적인 이익 모멘텀이 지속되고 있어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특히, 다음 주에는 주요 기업들의 1분기 실적 발표가 예정되어 있어 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업종별 이익 모멘텀을 면밀히 분석하여 투자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 주 주요 실적 발표 일정 (4/21~4/25)
- 4월 21일(월): LS ELECTRIC, 한화엔진
- 4월 22일(화): HD현대일렉트릭
- 4월 23일(수): LG이노텍, 삼성바이오로직스
- 4월 24일(목): SK하이닉스, 포스코퓨처엠, 현대제철, 현대차, POSCO홀딩스, HD한국조선해양, 한화솔루션
'Global Mark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제 금값 온스당 3,300달러 돌파, 안전자산의 귀환인가? (0) | 2025.04.21 |
---|---|
일본 보험사들의 채권시장 투자 전략 분석: 금리 변화에 따른 대응과 향후 전망 (0) | 2025.04.21 |
달러 환율 상승과 숏 포지션 정리: 글로벌 금융 시장의 불확실성과 기회 (0) | 2025.04.20 |
EU, 미국에 수출 제한 검토…무역협상 실패 시 보복 본격화되나? (0) | 2025.04.20 |
美 하원위원회, 월가에 中 CATL 상장 주관사 포기 촉구…미국 투자자 보호의 필요성 (0) | 2025.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