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lobal Market

트럼프發 관세 충격…LNG로 돌파구 찾는 韓 가스업계

by 퍼펙트파이프라인 2025. 4. 25.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고율 관세 정책으로 수출 산업 전반이 긴장감에 휩싸인 가운데, LNG(액화천연가스)를 앞세운 한국 가스업계가 글로벌 공급망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LNG는 에너지 안보 핵심 자산으로 분류되어 관세 적용에서 비교적 자유롭고, 원가 경쟁력친환경 연료로서 시장 수요까지 충족시켜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1. LNG의 강점과 관세 회피 전략

LNG는 미국 정부의 에너지 안보 전략 상 국가 안보 자산으로 지정되어 고율 관세 적용 가능성이 낮습니다. 이로 인해 한국 기업들은 제조업·소재 산업과 달리 관세 리스크를 회피하며 수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또한, 중동산 대비 20~30% 저렴한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이 더욱 용이해졌습니다.


2. 주요 기업별 투자·공급망 다변화 현황

  • 포스코인터내셔널: 2026년부터 북미산 LNG 연간 40만t을 20년간 도입하는 장기 공급 계약 체결로 수급 안정성과 공급망 강화
  • SK이노베이션 E&S: 미국 오클라호마 우드퍼드 가스전 지분 49.9% 확보, 2027년 목표 LNG 벙커링선 사업 확대
  • 동남아·유럽 신규 수요 공략: SKI E&S, 연간 100만t 규모 LNG 장기 판매 계약 체결로 시장 진입 가속화

3. 시장 전망과 블룸버그NEF 분석

시장조사기관 블룸버그NEF는 트럼프 2기 초반까지 미국 LNG 생산 능력이 약 60% 확대되어 연간 9,120만t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중동산 대비 저렴한 가격과 풍부한 공급량은 한국 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하는 기반이 됩니다.


4. 과제 및 정부 차원의 대응 필요성

그러나 국내 에너지 전략은 기업별 개별 대응에 의존하는 구조적 한계를 보이고 있습니다. 정부 차원의 통합 에너지 전략 수립과 산업 간 협업이 시급하며, 일본 등에서 풀릴 수 있는 약 1,200만t 규모의 LNG 잉여 물량에 대한 대비가 필요합니다.


5. 결론

한국 가스업계는 트럼프발 관세 충격 속에서 LNG를 활용한 공급망 다변화 전략으로 글로벌 시장 공략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안정적 수급, 원가 경쟁력, 친환경 연료로서의 강점을 극대화하기 위해 정부와 기업이 협력하여 글로벌 에너지 시장의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합니다.





이 글은 최신 시장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투자 결정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